목차
윈도우 탐색기
FilingBox를 통해 개인/부서/사용자 지정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.
사용방법
- Filing Box 연결된 폴더 탭에서 열기를 원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“더블클릭" 합니다.
- 클릭하면 해당 드라이브 폴더가 열려 파일 및 폴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웹 다운로드 링크 생성
다운로드 URL받기는 용량이 큰 파일을 웹 링크 형태로 전달할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.
사용방법
-
다운로드 URL로 보내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,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Context Menu에서 ‘웹 다운로드 링크 만들기’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패스워드 / 다운로드 만료일 / 다운로드 횟수를 지정합니다.
- 관리자 정책에 의해 사용자 입력이 제한된 경우 설정값 대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링크를 받은 사용자가 링크 생성시 입력된 패스워드를 맞게 입력해야만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.
- 링크정보가 모두 설정되었으면 [링크 생성]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버튼 클릭 후 하단에 생성된 링크를 체크 한 후에 [링크 복사]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링크 생성 완료 메시지가 출력 되면 확인 버튼 클릭 후, 원하는 곳(이메일, URL 입력창 등) 에 해당 링크를 붙여넣기 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리비전 생성 및 현황
리비전 생성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파일의 Context Menu 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리비전 생성
- 파일 편집모드 사용시 자동으로 리비전 생성(편집모드 열기 항목에서 별도 설명)
* 개인폴더 내에서 리비전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리비전 생성
- 리비전을 생성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,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Context Menu에서 “리비전 생성”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리비전 생성 창이 열리면 메모 입력 란에 해당 버전에 대한 메모를 입력합니다. (입력하지 않아도 등록은 가능합니다.)
- 메모 입력 후 [생성]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이후 리비전 파일을 생성했다는 알림창이 뜨면 [확인]을 클릭합니다.
파일의 버전 등록정보 및 메모는 [리비전 현황]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리비전 현황
파일의 버전 정보는 Context Menu 의 [리비전 현황]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먼저 버전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,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Context Menu에서 “리비전 현황”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리비전 현황 리스트에서 현재 파일에 등록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, 기록된 버전의 내용 확인을 원할 경우, 리스트에서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버전을 선택하고 [열기]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버전의 파일이 “읽기전용” 으로 오픈 됩니다. 또한 [복원]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 선택한 버전의 파일로 교체됩니다.
복원 후 윈도우 탐색기에서 해당 파일을 확인해 보면, 이전 버전의 파일로 바뀌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편집모드
- 편집모드 열기
-
FilingBox 에 있는 파일을 윈도우 탐색기에서 더블 클릭하여 열면, [읽기 전용]으로 파일이 열립니다. 파일을 읽기 전용이 아닌 편집모드로 열어 작업하고 싶을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.
기능 사용시 특이사항
편집모드로 파일을 열 때 이전 버전과 버전비교를 하여 현재 파일이 이전 버전과 다를 경우 자동으로 버전을 기록합니다
- 먼저 편집모드로 열고 싶은 파일을 선택한 후,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Context Menu에서 [편집모드 열기] 메뉴를 클릭합니다. 편집모드로 오픈된 파일은 바로 수정 및 저장이 가능합니다.
- 편집모드로 오픈된 파일의 아이콘에 Lock 표시가 됩니다. 사용자 본인이 오픈한 파일은 녹색 으로 표시되며, 타 사용자가 오픈하고 있는 파일은 적색 으로 표시됩니다.
- 또한 편집 가능한 [호환 모드] 상태로 파일이 오픈 됩니다.
-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파일이 닫히게 되면, 편집모드가 해제 됩니다.
- 특정 프로그램의 경우 자동으로 파일의 편집모드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(예. AutoCAD)
- 자동으로 편집모드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편집모드 종료를 실행시키거나, 재로그인하면 해제됩니다.
- 편집모드 전환
-
Filing Box Drive에 있는 파일을 윈도우 탐색기에서 더블 클릭하면 읽기전용으로 파일이 열리지만, 편집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하면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도 편집모드로 파일이 열립니다.
여러 파일을 작업하거나 동시 편집을 해야 할 경우 파일을 선택(다중선택 가능)한 뒤 [편집모드 전환] 메뉴를 실행합니다.
- 파일을 선택(다중 선택 가능)한 뒤 [편집모드 전환] 메뉴를 실행합니다. 이때 편집모드로 전환된 파일은 “더블클릭” 하여 편집모드 실행이 가능합니다.
- 편집모드로 오픈된 파일의 아이콘에 Lock 표시가 됩니다. 사용자 본인이 오픈한 파일은 녹색 으로 표시되며, 타 사용자가 오픈하고 있는 파일은 적색 으로 표시됩니다.
- 편집모드 전환된 파일을 “더블클릭"하면 [호환 모드] 상태로 파일이 오픈 됩니다.
-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파일이 닫히게 되면, [편집모드 열기]와 다르게 편집모드가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습니다.
- 자동으로 편집모드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, 사용자가 편집모드 종료를 실행하거나 재로그인 시 해제됩니다.
- 편집모드 종료
-
[편집모드 열기] 하였는데, 자동으로 종료되지 않거나, [편집모드 전환] 시 자동으로 종료되지 않은 파일의 경우, 사용자가 [편집모드 종료] 기능을 실행하여 편집모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.
편집모드 종료된 파일은 탐색기에서 확인해 보면, Lock 이 해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먼저 [편집모드 열기] 하여 파일이 오픈되어 있는 경우나, [편집모드 전환] 을 통해 파일을 오픈한 경우, Agent 화면의 편집모드 파일 탭에서 현재 편집모드 파일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편집모드 파일 탭의 자물쇠 마크를 클릭하면, Context Menu 의 [편집모드 종료]와 같은 동작을 합니다.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편집모드 종료 확인창이 오픈됩니다.
- 확인창에서 [예]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의 편집모드가 종료됩니다.
- [편집모드 열기] 하여 파일이 오픈되어 있는 경우나, [편집모드 전환] 을 통해 파일을 오픈한 경우, Agent 화면의 편집모드 파일 탭에서 현재 편집모드 파일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[편집모드 열기] 하여 파일이 오픈되어 있는 경우나, [편집모드 전환] 을 통해 파일을 오픈된 경우, 편집모드를 종료하지 않고 Agent를 로그아웃할 경우,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팝업됩니다. 여기서 [예]를 클릭할 경우, 해당 파일의 편집모드가 해제되고, [아니요]를 클릭할 경우, 해당 파일의 편집모드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그아웃 또는 종료처리가 됩니다.
주의
[아니요]를 클릭할 경우,해당 파일은 계속 편집모드 상태로 남아있게 되니 주의하여 사용해주세요.
- 편집모드 파일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Agent 를 로그아웃 할 경우 로그아웃 시에 편집모드 종료여부를 묻게 됩니다. 이 때 [아니요]를 선택하고 로그아웃 했다가 다시 로그인을 하게 되면, 다음과 같은 팝업이 오픈 됩니다. 여기서 [편집모드 일괄 해제]를 클릭하면, 해당 편집모드가 일괄 해제됩니다
서버사이드 파일 컨트롤
- 압축하기
-
파일링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압축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.
- Context Menu의 압축프로그램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- 파일링박스[압축하기]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첫번째의 기능을 이용해도 무방하나, 대용량 파일의 경우 압축을 위해 PC와 통신이 필요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. 이런 부분의 편의성을 위해 파일링박스에서는 서버에서 바로 압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- 먼저 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선택(다중 선택 가능, 폴더 포함 가능)한 뒤 우측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. 마우스 우측 메뉴에서 압축하기를 클릭하면, PC의 압축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서버에서 바로 압축파일이 생성됩니다.(제일 마지막 압축한 파일명을 기준으로 zip 파일을 생성합니다.)
- 복사하기 & 붙여넣기
-
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내의 파일 및 폴더를 복사하여 à 박스 내 폴더로 붙여넣기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습니다.
- Context Menu의 탐색기 기본 복사하기/붙여넣기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- 파일 및 폴더 선택 후 Ctrl+C & Ctrl+V 하는 방법
- 파일링박스 주황색 [복사하기] & [붙여넣기]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첫번째, 두번째의 기능을 이용해도 무방하나, 대용량 파일의 경우 PC와 통신이 필요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. 이런 부분의 편의성을 위해 파일링박스 에서는 서버에서 바로 복사&붙여넣기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서버에서 복사 및 붙여넣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작업 완료가 가능합니다.
- 먼저 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선택(다중 선택 가능, 폴더 포함 가능)한 뒤 우측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마우스 우측 메뉴에서 복사하기를 클릭하고, 붙여넣기를 원하는 박스 내 폴더로 이동하여 마우스 우측 클릭 후 메뉴에서 붙여넣기를 클릭합니다.
- 잘라내기 & 붙여넣기
-
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내의 파일 및 폴더를 다른 박스 드라이브의 폴더로 이동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.
- Context Menu의 탐색기 기본 잘라내기/붙여넣기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- 파일 및 폴더 선택 후 Ctrl+X & Ctrl+V 하는 방법
- 파일링박스 주황색 [잘라내기] & [붙여넣기]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
첫번째, 두번째의 기능을 이용해도 무방하나, 대용량 파일의 경우 PC와 통신이 필요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. 이런 부분의 편의성을 위해 파일링박스 에서는 서버에서 바로 이동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서버에서 이동이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작업 완료가 가능합니다.
- 먼저 박스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선택(다중 선택 가능, 폴더 포함 가능)한 뒤 우측마우스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마우스 우측 메뉴에서 잘라내기를 클릭하고, 붙여넣기를 원하는 박스 내 폴더로 이동하여 마우스 우측 클릭 후 메뉴에서 붙여넣기를 클릭합니다.
휴지통
사용자 본인 또는 타 사용자가 삭제한 파일 및 폴더는 에이전트 휴지통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먼저 개인 또는 조직/태스크포스 폴더 영역의 휴지통을 선택합니다. 휴지통을 선택하면 우측 리스트에 탐색기에서 삭제된 파일 목록이 리스팅 됩니다. 이때 부서 혹은 태스크포스 폴더의 휴지통은 권한이 있는 중간 관리자에게만 노출됩니다.
- 우측의 리스트에서 복원 또는 영구 삭제를 원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합니다.
- 에이전트 좌측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를 실행합니다. (영구삭제 또는 복원)
TIP
폴더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서 복원할 수 있습니다.
이때 용량이 부족한 경우 휴지통 파일을 삭제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