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스템 설치 및 구성


목차


필수 디렉토리 생성 및 설치파일 업로드

  1. / 디렉토리에 /FBOX 디렉토리 생성

    [root@filingbox ~]# mkdir /FBOX

    [root@filingbox ~]#

  2. SFT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/FBOX 디렉토리에 설치파일 업로드 및 확인

    [root@filingbox ~]# cd /FBOX

    [root@filingbox FBOX]# ls -al

    합계 735368

    drwxr-xr-x.  2 root root        87  4월 10 19:06 .

    dr-xr-xr-x. 18 root root       236  4월 10 19:00 ..

    -rw-r--r--.  1 root root 693274423  4월 10 19:06 box_enterprise_install_C7.tgz

    -rw-r--r--.  1 root root  59740072  4월 10 19:06 mariadb_local_install_C7.tgz

    [root@filingbox FBOX]#

    설치 시 필요한 파일은 2개이며, mariadb 압축파일은 별도로 압축 해제할 필요가 없다.

    업로드 한 mariadb 압축파일 이름과 var.sh 에 기술된 mariadb 파일명이 동일해야 한다.

설치파일 압축해제 및 설치환경 설정(var.sh)

[root@filingbox FBOX]# tar -zxvpf box_enterprise_install_C7.tgz

위의 명령어로 설치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.

[root@filingbox FBOX]# cd box_enterprise_install

[root@filingbox box_enterprise_install]#

[root@filingbox box_enterprise_install]# vi var.sh

box_enterprise_install 폴더로 이동하여 vi 편집기로 var.sh 파일을 오픈한다.

var.sh 파일은 설치과정에 필요한 환경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다.

[ var.sh 파일에서 확인할 사항 ]

# 오프라인 설치를 위한 ISO 파일명 정의

C7="CentOS-7-x86_64-Everything-2009.iso"

C8="CentOS-Stream-8-x86_64-20220816-dvd1.iso"

R7="rhel-server-7.9-x86_64-dvd.iso"

R8="rhel-8.4-x86_64-dvd.iso"

RK8="Rocky-8.6-x86_64-dvd1.iso"

 

# 오프라인 설치를 위한 Local MariaDB 파일명 정의(.tgz)

CM7="mariadb_local_install_C7"

CM8="mariadb_local_install_C8"

RM7="mariadb_local_install_R7"

RM8="mariadb_local_install_R8"

RKM8="mariadb_local_install_RK8"

 

# MariaDB 압축해제된 폴더 정의

DEP_Maria=""

 

# 설치위치 정의

DIRECTORY=/FBOX

 

# 톰캣 경로 사전 정의

tomcatPath1="/opt/tomcat"

tomcatPath2="/opt/apache-tomcat-7.0.52"

위의 내용이 맞는지 확인한다.

사전에 미리 정의하여 배포를 하기 때문에 설치시에 수정할 일은 거의 없다.

또 다른 질문이 있으십니까? 문의 등록